할리드 스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할리드 스카는 모로코 출신의 육상 선수로, 1990년과 1991년 세계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이름을 알렸다. 트랙 경기에도 출전하여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100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경기 중 논란으로 인해 실격과 금메달 복귀를 겪었다. 1993년 2마일 세계 기록을 세우기도 했으며, 이후 노르웨이 국적을 취득했으나 모로코 육상 연맹의 제재로 국제 대회 출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01년 복귀하여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로코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사이드 아우이타
사이드 아우이타는 모로코의 육상 선수로,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5000m 금메달, 1988년 서울 올림픽 800m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1500m와 5000m 세계 기록을 세우고 은퇴 후 스포츠 관련 활동을 이어갔다. - 모로코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히샴 엘 게루주
히샴 엘 게루주는 모로코의 은퇴한 육상 선수로, 1500m와 1마일에서 세계 기록을 경신하고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4회 연속 우승, 2004년 아테네 올림픽 1500m와 5000m 금메달을 획득한 중거리 육상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선수이다. - 모로코의 지중해 게임 금메달리스트 - 사이드 아우이타
사이드 아우이타는 모로코의 육상 선수로,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5000m 금메달, 1988년 서울 올림픽 800m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1500m와 5000m 세계 기록을 세우고 은퇴 후 스포츠 관련 활동을 이어갔다. - 모로코의 지중해 게임 금메달리스트 - 브라힘 부타예브
브라힘 부타예브는 모로코 출신의 육상 선수로, 1988년 서울 올림픽 10,0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5,0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하고 랠리 드라이버로 전향했다. - 모로코의 남자 장거리달리기 선수 - 사이드 아우이타
사이드 아우이타는 모로코의 육상 선수로,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5000m 금메달, 1988년 서울 올림픽 800m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1500m와 5000m 세계 기록을 세우고 은퇴 후 스포츠 관련 활동을 이어갔다. - 모로코의 남자 장거리달리기 선수 - 히샴 엘 게루주
히샴 엘 게루주는 모로코의 은퇴한 육상 선수로, 1500m와 1마일에서 세계 기록을 경신하고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4회 연속 우승, 2004년 아테네 올림픽 1500m와 5000m 금메달을 획득한 중거리 육상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선수이다.
할리드 스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명 | خالد سكاح (아랍어) |
로마자 표기 | Khalid Skah |
출생일 | 1967년 1월 29일 |
출생지 | 미델트, 모로코 |
직업 | 장거리 달리기 선수 |
활동 기간 | 1990년대 |
국적 | 모로코 |
메달 기록 | |
올림픽 | 금메달, 1992년 바르셀로나, 남자 10,000 m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은메달, 1995년 예테보리, 남자 10,000 m 동메달, 1991년 도쿄, 남자 10,000 m |
지중해 게임 | 금메달, 1993년 나르본, 10,000 m |
2. 선수 경력
할리드 스카는 1992년 하계 올림픽 100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경기 도중 발생한 논란으로 인해 시상식에서 야유를 받았다. 1993년에는 2마일에서 세계 신기록(8분 12초 17)을 세웠지만,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0000m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모로코 선수단의 기수를 맡았지만, 10000m 경기에서 7위에 그쳤다.
1997년 노르웨이 시민권을 얻었으나, 모로코는 스카가 국제 대회에 출전하는 것을 한동안 금지했다. 2001년에 다시 출전 자격을 얻은 스카는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에서 10위를 기록하며 복귀를 알렸다.
2. 1. 초기 경력 및 세계 무대 진출
할리드 스카는 모로코 중부 고원의 도시 미델트 출신으로, 크로스컨트리 선수로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하여 1990년과 1991년에 세계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에서 연속 우승했다.1991년부터 트랙 경기에도 출전하기 시작한 스카는 시즌 초부터 오슬로의 10000m 경기에서 좋은 성적을 보여주며, 그 해 여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 후보 중 한 명으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도쿄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케냐의 리처드 체리모, 모세스 타누이의 팀 전략에 밀려 3위에 그쳤고, 이어진 5000m 경기에서는 6위에 머물렀다.
이듬해 바르셀로나 올림픽 10000m에 출전한 스카는 중반 이후 체리모와 선두 경쟁을 벌였다. 남은 3바퀴를 남겨둔 상황에서, 랩된 모로코의 하무 부타이브가 선두 그룹에 합류하여 체리모 앞에서 두 번이나 추월하며 스카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었다. 이는 랩된 선수가 다른 선수를 돕는 행위를 금지하는 경기 규칙에 위반되는 행위였다. 관중들은 이에 분노했고, 심판도 부타이브를 퇴장시키려 했지만 실패했다.
스카는 마지막 150m에서 스퍼트하여 체리모를 제치고 1위로 결승선을 통과했지만, 직후 실격이 발표되었다. 체리모가 금메달을 획득한 것으로 발표되자 관중들은 크게 기뻐했다. 그러나 모로코 측의 이의 제기가 받아들여져 판정이 번복되었고, 스카의 금메달이 확정되었다. 시상식에서 스카에게 금메달이 수여되자 관중들은 야유를 보냈고, 은메달을 받은 체리모에게는 스탠딩 오베이션을 보냈다.
스카는 1993년에 2마일에서 8분 12초 17의 자신의 유일한 세계 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같은 해 세계 선수권 대회 5000m에서는 5위에 그쳤다. 199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0000m에서 2위를 기록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개회식에서는 모로코 선수단의 기수를 맡았고, 10000m에 출전했으나 7위에 머물렀다.
1997년 노르웨이 시민권을 획득한 스카는 모로코의 반대로 국제 대회 출전이 좌절되었다가, 2001년에 다시 출전 자격을 얻어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에서 10위를 기록했다.
2. 2.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할리드 스카는 10,000m 동메달, 5000m 6위를 기록했다.[1] 오슬로 대회 10,000m 우승으로 강력한 우승 후보였으나, 리차드 첼리모와 모세스 타누이 (이상 케냐)의 협력 전술에 밀려 뜻을 이루지 못했다.[1] 5000m 금메달리스트 요베스 온디에키 (케냐)는 스카를 주요 경쟁자로 예상했지만, 스카는 지친 탓인지 6위에 그쳤다.2. 3.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바르셀로나 올림픽 10,000m 결승에서 할리드 스카는 케냐의 리처드 첼리모와 금메달을 놓고 경쟁했다. 경기 막판, 랩을 당한 모로코의 함무 부타예브가 선두 그룹에 합류하여 스카에게 유리하게, 첼리모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하는 상황이 발생했다.[1][2] 이는 랩을 당한 선수가 다른 선수를 도울 수 없다는 규칙에 위반되는 행위였다.관중들은 이에 분노했고, 심판도 부타예브를 저지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마지막 150m에서 스카는 첼리모를 제치고 1위로 결승선을 통과했지만, 곧바로 실격 처리되며 첼리모가 금메달을 획득하는 듯했다. 그러나 모로코 측의 항소로 판정이 번복되어 스카가 다시 금메달을 획득하게 되었다. 시상식에서 스카에게는 야유가, 첼리모에게는 스탠딩 오베이션이 쏟아졌다.
2. 4. 올림픽 이후
스카는 1993년 취리히 벨트클라세 5,000m 경주에서 우승했지만,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5,000m에서는 5위에 그쳤다. 같은 시즌, 그는 2마일 달리기에서 8분 12초 17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1] 1994년에는 1994년 IAAF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0,000m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1]스카의 마지막 주요 국제 대회는 1996년 하계 올림픽이었으며, 10,000m에서 7위를 기록했다.[1] 1995년 노르웨이 시민권을 획득한 후, 모로코 육상 연맹은 그의 국제 대회 출전을 금지했다.[1] 2001년, 출전 금지가 해제된 스카는 2001년 IAAF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에서 10위를 기록하며 복귀를 시도했다.[1]
2. 5. 국적 변경 및 갈등
스카는 1995년에 노르웨이 시민권을 얻었고, B.U.L 운동 선수 클럽에서 거주하며 훈련했다. 이후 모로코 육상 연맹은 그가 국제 대회에 출전하는 것을 금지했다. 2001년에 자격이 회복되었고, 세계 최고의 장거리 달리기 선수 중 한 명으로 재기하기 위해 복귀를 시도하여 그 해 2001년 IAAF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에서 10위를 기록했다. 1997년에 노르웨이 시민권을 얻었지만, 모로코는 스카가 국제 대회에 출전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국제 대회에서 모습을 감췄다. 2001년에 다시 출전할 수 있게 되자,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에서 10위라는 성적을 거두었다.2. 6. 선수 생활 후반
1993년 스카는 취리히 벨트클라세 5,000m 경주에서 우승했지만,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5,000m에서는 5위에 그쳤다. 같은 시즌, 그는 2마일에서 8분 12초 17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 1994년에는 1994년 IAAF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0,000m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스카의 마지막 주요 국제 대회는 1996년 하계 올림픽이었으며, 10,000m에서 7위를 기록했다. 1995년, 스카는 노르웨이 시민권을 얻었고, B.U.L. 운동 선수 클럽에서 거주하며 훈련했다. 이후 모로코 육상 연맹은 그가 국제 대회에 출전하는 것을 금지했다. 2001년에 자격이 회복된 후, 스카는 세계 최고의 장거리 달리기 선수 중 한 명으로 재기하기 위해 복귀를 시도했고, 그 해 2001년 IAAF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에서 10위를 기록했다.
3. 주요 기록
할리드 스카는 1990년 카이로(이집트)에서 열린 아프리카 육상 선수권 대회 10000m에서 금메달(28분 31초 1)을 획득했다. 1991년 도쿄(일본)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5000m 6위(13분 32초 90), 10000m 동메달(27분 41초 74)을 차지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스페인) 올림픽 10000m에서는 금메달(27분 46초 70)을 획득했다.
1993년 슈투트가르트(독일)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5000m에서는 5위(13분 07초 18)를 기록했다. 1994년 파리(프랑스) IAAF 그랑프리 파이널 5000m 1위(13분 14초 63), 런던(영국) IAAF 월드컵 10000m 1위(27분 38초 74)를 차지했다. 1995년 예테보리(스웨덴)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0000m 은메달(27분 14초 53), 1996년 애틀랜타(미국) 올림픽 10000m 7위(27분 46초 98)를 기록했다.[1]
3. 1. 개인 최고 기록
종목 | 기록 | 날짜 |
---|---|---|
1500m | 3분 38초 10 | 1992년 |
3000m | 7분 36초 76 | 1994년 |
5000m | 13분 00초 54 | 1994년 |
10000m | 27분 14초 53 | 1995년 |
하프 마라톤 | 1시간 00분 24초 | 1998년 |
마라톤 | 2시간 16분 34초 | 2003년 |
3000mSC | 8분 19초 30 | 1994년 |
3. 2. 국제 대회 성적
연도 | 대회 | 개최지 | 종목 | 결과 | 기록 |
---|---|---|---|---|---|
1990 | 아프리카 육상 선수권 대회 | 카이로(이집트) | 10000m | 28분 31초 1 | |
1991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도쿄(일본) | 5000m | 6위 | 13분 32초 90 |
1991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도쿄(일본) | 10000m | 27분 41초 74 | |
1992 | 올림픽 | 바르셀로나(스페인) | 10000m | 27분 46초 70 | |
1993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슈투트가르트(독일) | 5000m | 5위 | 13분 07초 18 |
1994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파리(프랑스) | 5000m | 13분 14초 63 | |
1994 | IAAF 월드컵 | 런던(영국) | 10000m | 27분 38초 74 | |
1995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예테보리(스웨덴) | 10000m | 27분 14초 53 | |
1996 | 올림픽 | 애틀랜타(미국) | 10000m | 7위 | 27분 46초 98 |
참조
[1]
뉴스
Richard Chelimo: Athlete who narrowly missed out on Olympic gol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1-08-29
[2]
뉴스
Kenyan outcry over Skah's reinstatement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2-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